Q&A

  • 데이타베이스 프로그램 경험이 있으신 분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. ㅠㅜ;
현재 Zeos + MySQL의 2 Tier 형태의 프로그램을 작성했습니다.
그런데 DB가 외부에 있고 원격으로 직접 접근은 안됩니다. 그래서 3 Tier 형태로
분산환경을 구축해야 하는데 Zeos를 사용해서도 가능한지요?
현재 나와있는 참고서들은 주로 dbExpress + MySQL 형태로 분산환경에서
프로바이더/리졸버 아키텍쳐를 이용하라고 하는데 어느 것이 나을지 모르겠습니다.
그리고 dbExpress에서 MySQL의 테이블을 읽으면 테이블 내용중 varchar(20) binary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은 [VARBITE]라고만 표시됩니다. 일단 이게 해결되기 전까지는
dbExpress를 사용하기는 좀 그렇고...

데이타 베이스쪽 프로그램은 첨이라 이것저것 뒤지면서 계속 삽질하고 있습니다.
경험이 있으신 분들의 조언이 정말 필요합니다.
3  COMMENTS
  • Profile
    박지용 2005.02.28 21:49


    Zeos가 TClientDataSet 잘 인터페이스되는것 같습니다... 제 견해로는  프로바이더/리졸버 아키텍쳐 즉,
    MIDAS 기반으로 해봐도
  • Profile
    XenSen 2005.02.28 21:15
    mysql 설치시 원격접근이가능하도록 host부분에 % 를 두시거나 IP를 적고요
    크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작동하면됩니다.
    (mysql DB설정시 host 는 서버자신이 아니라 접속하려는 PC들에대한 것이므로
    %, IP, Localhost를 등으로 구분 입력 하시구요,
    클라이언트의 mysql 정보의 host는 거꾸로 mysql이 설치된 DB server의 IP입니다.
    같은 host 이지만 서로 좀 다릅니다.)
    이후 원격에서 접속하면 가능합니다.
    만약 mysql 포트가 방화벽으로 되있다면 접근이 불가능하것이구요
    이경우 열린포트로 시스널을 보내어 쿼리문 실행토록하세요
    그냥..

  • Profile
    양용호 2005.03.01 08:14
    답변 감사드립니다.
    MySQL 서버에 외부접속이 안되는 것은 MySQL 서버를 관리하는 쪽에서 정책적으로 그렇게 하는 것이라 제가
   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서요... ㅠㅜ;
    일단은 분산환경으로 시스템을 구축하면 될거 같은데. 문제는 Zeos를 사용해서 로컬환경에서 데이타베이스에
    접근해서 쿼리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은 구현했는데 분산환경에서도 이것이 가능한가 였습니다.
    Zeos를 사용해서요.
    dbExpress 와 프로바이더/리졸버 아키텍쳐를 사용하고 싶었지만, 여기저기 수소문하고 물어봐도 답변없는
    그놈에 [VARBITE] 때문에... 또 설명 드려야 하는군요. ㅠㅜ;
    dbExpress + MySQL 을 사용해서 테이블을 읽어 오면 특정 필드(DB상에 varchar(20) binary 로 설정되어
    있는 녀석은 DBGrid 상에 [VIRBITE] 라고만 표시됩니다.
    물론 Zeos 를 사용했을 경우 제대로 문자열 형태로 나오고요. 나참.... ㅡㅡ^
    그래서 이러저러 해서 경험자 분들께서는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서 이렇게 질문을 올렸답니다.